2013년 10월 14일 월요일

트위터의 미래는 TV와 함께



트위터가 일주일 전에 IPO를 신청하였다. twitter IPO form S-1
작년 페이스북의 IPO 이후에 가장 기대가 되는 실리콘 밸리 기업 공개인 것이다.


두 기업의 매출 비교


그러나 우리는 위 차트를 볼때 한눈에 우려가 되는 부분을 발견할 수 있다. 바로 트위터의 수익부문이다. 매출이 페이스북의 10%라고 하지만 순수익이 마이너스인 상황에서는 제값을 받기 힘든 기업공개가 될 가능성이 크다.

이런 상황에서 트위터는 수익성을 위해서 전력을 기울일 것이고, 우리는 어느정도 일관된 소식을 통해서 그 방향성을 알 수가 있다.

트위터는 스스로를 실시간 정보 네트워크 (Realtime Information Network)라고 정의하고 일반 SNS와의 차별화를 시도하고 있다. 그 시도 중에서 가장 눈에 띄는 방향성은 역시 TV와의 결합이라고 하겠다.
소셜TV와 세컨드 스크린의 가능성이 지속적으로 이슈화 되고 있고, SNS 중에서 트위터가 그 매체로 자주 거론되었기 때문에 TV로의 접근은 매우 자연스러운 방식임에 틀림이 없다.

그러면 트위터는 어떻게 TV와의 연계를 접근하고 있을까?

첫번째로 합병을 통해서 빠르게 관련 기술을 내재화하고 있다. 트위터는 소셜TV 업체인 블루핀랩스(Bluefin labs)를 인수하였고 또 페이스북과 제휴를 업체인 트렌더(Trendrr) 또한 인수하였다.

트위터는 이러한 기술 내재화를 통해서 여러가지 서비스를 선보이고 있다.
방송중 실시간 프로그램의 정보를 보여주는 Twitter Amplify를 선보이면서 여러 광고주와 파트너쉽 제휴를 확대하려고 노력 중이다. 그리고 프로그램 중간 광고가 나가는 동안 트윗을 하게되면 해당 이용자에게 광고를 노출하는 TV ad Targeting 서비스도 선보였다.

Introduction TV ad Targeting


트위터는 또한 재미있는 시도를 공개했다. 대형 케이블 기업인 컴캐스트와 제휴를 통해서 방송사 트윗에 포함된 See it 버튼을 누르면 셋탑박스나 모바일에서 바로 해당 채널로 이동하는 기능이 그것이다.

마지막으로 트위터는 닐슨과 함께 새로운 시청률 순위를 발표했다. TV를 보면서 트위터를 하는 세컨드 스크린의 영향력을 바탕으로 새로운 서비스를 발표했다고 믿고 싶지만 트위터 주 사용자를 볼 때 모든 계층을 포함한 정확한 순위를 반영할 지는 미지수인 것 같다.

트위터는 미디어 기업으로 진화하기를 바라고 있고 TV와 결합으로 방향성을 잡은 것으로 보인다. 이는 페이스북의 진화와는 다른 방향으로 매우 적절한 설정으로 생각된다.
앞으로 어떤 결과가 나타날지 알수는 없지만 세컨드 스크린 서비스로 세련된 모습으로 발전하여 많은 투자자(?)와 사용자의 기대를 충족시켜 주길 바란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